반응형 건설용어정리33 층고의 정의와 천정고 바닥구조체 슬래브 건축에 대한 용어를 공부를 하다보면 건물높이라는것도 있지만 층고라는것도 있습니다. 요즘은 층고라는것이 사람의 삶과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층고에 대해서 상당히 민감한 상태입니다. 건설을 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층고를 낮추어서 건물높이는 같지만 한층이라도 더 짓는다면 매출등에 민감하기때문에 층고에 낮게 하는것이 방법을 찾았습니다. 요즘은 아파트는 층고는 2.8m이고 천장고는 2.3m을 유지를 하게됩니다. 층고가 조금더 높다면 해방감등이 좋을 수도 있지만 난방비나 요즘 에어컨 비용으로 인하여 2.8m를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사용을 하는듯합니다.1.층고1.1.층고의 정의방의 바닥구조체 윗면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윗면가지의 높이1.2.한 방에 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있는 경우층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서는 층.. 2024. 8. 9. 대지 안의 공지의 정의와 중요성 베트남이나 필리핀에 갔을 때 건물과 건물사이에 공간이 없이 그냥 이어 붙어서 건물을 짓는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렇지만 동남아에서는 당연하고 하네요. 옆에 건물이 있으면 벽이 새로짓는 건물의 벽으로 되어 이어서 건물을 만들면 되기때문입니다. 물론 대형건물이 아니라 소형건물이지만요. 이렇게 건물과 건물사이에 공간이 없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있는것이 좋을까요? 현대의 건축에서는 안되죠. 왜냐하면 환기나 또는 채광이 반드시 필요하기때문이죠. 우리는 건물과 건물사이에 공간을 대지 안의 공지라는 표현을 하게됩니다.1.대지 안의 공지 정의(법률)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지역ㆍ용도지구,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 등에 따라 건축선 및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 6미터 이내.. 2024. 8. 2. 건축면적 정의와 건폐률 정의와 연관성 건축면적은 대지면적 내에 실제건물이 건설되는 면적을 의미를 하고 있습니다. 수평투평면적이라고 하는데 그냥 위에서 보면 건물의 크기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층수는 의미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건폐율은 대지에서 건물의 크기가 얼마가 되는지에 대한 백분율로 하는것입니다. 건폐율이 100%가 된다는것은 대지에 주변에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건물을 짓는것으로 건물과 건물사이를 그대로 연결이 되기때문에 대부분 60%이내로 건물을 짓게됩니다. 물론 60%도 엄청나게 높은것으로 일반건물은 50%이내로 짓게됩니다.1.건축면적1.1.법률 정의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곽 부분의 기둥으로 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1.2.건축면적이란?하늘에서 아래로 .. 2024. 8. 2. 연면적 정의와 용적률의 정의와 연관성 연면적이라고 하면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에서는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이라고 합니다. 대지에 있는 모든 건물의 바닥면적을 합산을 연면적이라고 아시면 될것입니다.연면적과 연결이 된 것이 바로 융적률이 있습니다. 용적률은 대지에 연면적이 얼마나 차이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융적률이 달아진다. 대지 100에 연면적이 100이라고 한다면 융적률은 100%입니다. 주거지역,상업지역,공업지역,녹지지역,보존관리지역,생산관리지역,계획관리지역,미세분지역,농림지역,자연환경관리지역에 따라서 용적률이 다른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각각 용적률 비율이 다르지만 건축 용어정리이므로 여기서 따로 다루지는 않을 예정입니다.1.연면적1.1.연면적의 정의(법령)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1.2.연면적이란?건축물 각.. 2024. 8. 2.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