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설용어정리33 건설기술사와 현장대리인의 차이 건설기술사와 현장대리인은 다를까요? 동일할까요? 이런 질문을 한다면 건축관련된 업을 하는 분들도 차이를 모르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건설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설기술사가 있어야 한다고 법에서 규정을 하고 있지만 현장대리인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법률로서는 규정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럼 왜 현장에서 현장소장,현장대리인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1.현장 대리인우리는 현장 대링인이라는 말보다는 현장소장이라는 말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현장소장은 현장에서 사실상 최고의 권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소장은 각각 건설부분에 있을 수 있습니다. 건설을 할 때 각각 공정이 있기때문에 공정별로 현장소장이 따로 있을 수도 있다는것입니다. 2.건설기술사技術士 Profession.. 2024. 4. 26. 도급과 하도급의 차이? 도급과 하도급의 차이가 있을까요? 글자 그래도 봐도 도급과 하도급이 차이가 있은것처럼 실제로 도급과 하도급이 차이가 상당히 많습니다. 도급과 하도급의 차이를 모르는 분들도 계시는데 건설을 하는 분들은 도급과 하도급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아야 하며 도급계약이 가능한지 하도급계약을 해야 하는지 알아야 추후에 문제의 소지가 없을것입니다. 여기에서 건축업에 관련된 일을 하기 위한 기초에서 기초 용어입니다. 1.도급이란?우선 도급이라는것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도급(都給)은 어떤 일의 완성을 부탁받은 자(수급인)가 일을 하기로 약정하고, 부탁한 자(도급인)가 그 일이 완성되면 보수(報酬)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대한민국 민법 제664조)이다. 도급 나무위키 1.1.도급?도급이라는 정의에 부탁받은 자.. 2024. 4. 25. 가건축물 가건물 가설건축물 이란? 가건물에서 쓰는 가(假)는 한자로 거짓가로 쓰고 있습니다. 가건물은 한자로 하면 가짜건물이라는 것인데 건물인데 임시건물이라는 의미로 보는것이 맞습니다. 밑에 사전에 나오는 가건물의 뜻으로 가건축물,가설건축물등의 단어로도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건축 허가를 받아도 되고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것이며 가장 중요한것은 부동산 자산으로 승인이 되지 않는다는것입니다. 그래서 정의를 하면 임시건축물로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 건축물 로 보면 됩니다. 1. 건축 허가를 받지 않았거나 또는 허가를 받았으나 부동산 자산으로 승인되지 않은 임시로 지은 건물. 컨테이너, 조립식 건물 따위. 임시 건물. 가건물 정의 1.가건축물 조건 1.1.지붕에 지지하기 위한 기둥 1.2.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벽 거건축물 조건을.. 2024. 4. 18. 공작물이란? 공작물은 일반인들은 쉽게 들어보지 못한 용어일것입니다. 대부분 건물이라는 표현으로 모든것을 표현을 하기때문입니다. 그렇지만 건축법상 건축물과 공작물은 정확하게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건축업을 하는 분들은 건축물과 공작물에 정확하게 구분을 해야 할것입니다. 공작물은 건축물이 아닌것이 공작물이라고 생각을 하면 된다는 분들도 계시네요. 이것도 맞는말일까요? 1.지상에 설치된 각종 구조물 건축물 개념에 비추어 토지에 붙어있어야(정착)하며, 항상 거주하는것이 아닌 것으로 건축물이 대지에 기존 건축물과 공간 및 공간 및 시간적으로 분리(사용승인 후 설치)하여 축조하거나 건축물이 없는 대지에 축조하는 구조물로 특히 사람이 머물 수 없는 것 ->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문구네요 쉽게 해석한다고 하지만 어려울수도 있지만요.. 2024. 4. 16.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